티스토리 뷰

성조숙증은 단순히 호르몬 문제로만 생각하기 쉽지만,
최근에는 생활 습관, 특히 식습관과의 연관성도 많이 이야기되고 있어요.


고지방, 고칼로리 식단이나 과도한 단 음식 섭취가

성조숙증 발현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는 연구들도 있고요.

 

물론 식습관이 전부는 아니지만,
진단을 받고 나서 식단을 신경 쓰게 된 엄마 입장에서 보면,
“조금 더 일찍 알고 있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저는 치료와 함께 식생활도 차근차근 바꾸기 시작했어요.

 

성조숙증 진단, 그리고 식습관 관리가 시작된 이유

아이는 평소와 다름없이 잘 지내고 있었어요.
키가 평균보다 조금 작았고, 눈에 띄는 변화는 없었지만
성조숙증 건강보험 적용 시기가 있다고 하기에,
'지나기 전에 검사라도 받아보자'는 마음으로 병원에 가게 되었어요.

 

그렇게 시작된 검진에서 예상보다 높은 수치로 성조숙증 진단을 받았고,
곧바로 치료를 시작하게 됐어요.

 

하지만 치료가 시작된 바로 그 시기, 겨울방학이 겹쳤고
활동량이 줄면서 체중이 빠르게 증가하게 되었어요.

결국 12주 간격이었던 주사를 4주 간격으로 앞당겨 맞게 되었습니다.

 

성조숙증 진단 후, 생활이 달라졌어요

사실 검사받을 당시에는 아이가 키도 작고 냄새도 없었기 때문에
크게 의심하지 않았어요. 단지 '건강보험 적용 시기를 놓치지 말자'는 이유였죠.

하지만 진단 이후, 특히 치료 도중 체중이 급격히 늘며 주기까지 조정되면서
정말 생활이 많이 달라졌어요.

 

그중 가장 크게 바뀐 건 바로 식탁 위의 선택이었습니다.

 

식습관을 완전히 바꾸기보다, 할 수 있는 것부터

갑자기 식단을 확 바꾸기는 쉽지 않았어요.
아이도 엄마도 스트레스를 받지 않으면서 할 수 있는 것부터 시작했어요.

이렇게 조금씩 바꿔봤어요

  • 🍓 과일잼 대신 생과일이나 무가당 요거트
  • 🍱 전체 식사량은 그대로, 간식 종류를 건강하게 조정
  • 🧂 반찬 간은 심심하게, 채소 위주로
  • 🥛 가공 음료 줄이고, 우유도 꼼꼼히 고르기
    👉 관련 글: 무항생제 우유 vs 일반 우유

그리고 가장 중요했던 건,
단순히 “이건 안 돼”가 아니라
왜 줄여야 하는지, 어떤 선택이 우리 몸에 좋은지 계속 이야기해주는 것이었어요.

 

아이 간식, 성분표부터 보기 시작했어요

진단 이후부터는 간식 하나도 그냥 고르지 않았어요.
무심코 샀던 과자, 음료들에 합성감미료, 착색료, 보존료가 있다는 걸 보고 깜짝 놀랐죠.

▶ 관련 글: 어린이 간식, 피해야 할 성분 3가지

 

지금은 마트에 가면 제일 먼저 성분표부터 보는 습관이 생겼고,
유통기한보다 '뭘로 만들었는지'를 더 중요하게 보게 되었어요.

성조숙증, 병원 치료와 함께 집에서도 할 수 있는 것들

성조숙증은 단지 빨리 크는 문제가 아니었어요.
키가 작아도 진단될 수 있고,
체중 관리나 식습관이 치료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아직도 저희 가족은 시행착오 중이에요.
하지만 아이와 함께 하나씩 바꿔가는 과정이 쌓이면,
분명 더 나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확신이 들어요.

이 글이 지금 같은 고민을 하고 있는 분들께
작은 참고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